예제파일.xlsx


SUMIF()함수.
숫자를 집계하는데 있어서 가장 많이 쓰이는 함수가 아닐까 생각한다.

구성 : SUMIF(range,criteria,sum_range)


range 

조건을 적용할 셀 범위입니다. 각 범위의 셀은 숫자나 이름, 배열 또는 숫자가 들어 있는 참조여야 합니다.


criteria 

추가할 셀을 정의하는 숫자, 식 또는 텍스트 형태의 조건입니다. 예를 들어 32, "32", ">32", "사과" 등으로 criteria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sum_range 

범위의 상응하는 셀이 조건에 맞는 경우 실제로 더할 셀입니다. 

sum_range를 생략한 경우 범위에 있는 셀이 조건에 맞는지 확인하고 해당 조건에 맞으면 셀의 값을 더합니다.






위 데이터을 가지고 SUMIF() 함수를 사용하여 정규직과 계약직의 급여 합계, 직급별 급여 합계를 계산해보도록 하겠다.



1. 정규직과 계약직의 급여 합계

SUMIF(range,criteria,sum_range) 함수의 구성대로 하나씩 살펴보자.


range(조건을 적용할 셀범위) : B2:B14


criteria(찾고자 하는 조건) : "정규직" or "계약직" 또는 해당값이 들어있는 셀주소.


sum_range(합산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범위) : E2:E14


수식

정규직의 급여 합산   = SUMIF(B2:B14,"정규직",E2:E14)

계약직의 급여 합산   = SUMIF(B2:B14,"계약직",E2:E14)


2. 직급별 급여 합계


range(조건을 적용할 셀범위) : C2:C14


criteria(찾고자 하는 조건) : "과장" or "대리" or "사원" 또는 해당값이 들어있는 셀주소.


sum_range(합산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범위) : E2:E14 <-위에서와 같이 급여를 합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범위가 동일하다.



수식

과장의 급여 합산  = SUMIF(C2:C14,"과장",E2:E14)

대리의 급여 합산  = SUMIF(C2:C14,"대리",E2:E14)

사원의 급여 합산  = SUMIF(C2:C14,"사원",E2:E14)


1,2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범위에 절대참조을 제거하고 criteria 값을 문자로 설명했지만, 유첨의 엑셀파일을 참조하길 바란다.

절대참조을 쓰는 이유는 criteria값을 셀의 참조값으로 했을경우 드래그를 통한 손쉬운 수식입력이 가능하게된다.

절대참조을 쓰지 않는다면 드래그를 할때 범위도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없는 확률이 높다.




+ Recent posts